감정노동의 정의와 일상 속 확산 – 감정을 일로 다루는 시대감정노동이라는 개념은 1983년 사회학자 아를리 호크실드(Arlie Hochschild)가 처음 제시했다. 그는 항공 승무원을 사례로 들며, 고객에게 항상 미소를 유지하고 친절을 보여야 하는 업무가 단순히 몸을 쓰는 노동만이 아니라 감정을 조절하고 표현하는 ‘감정적 노력’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이후 이 개념은 학계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퍼지며 점점 더 현실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감정노동은 단순히 힘든 일을 의미하지 않는다. **개인이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거나 왜곡하여, 조직이나 고객이 원하는 방식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정서적 관리 행위’**를 말한다. 이 과정은 명백히 노동이며, 그것도 상당히 소모적인 형태의 노동이다.특히 한국 사회는 감정노동..